2007년 4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문제 1. 컨소시엄(Consortium)공사에 있어서
페이퍼조인트(paper joint)에 관하여 기술하시오.
(3점) ☞ 00-4, 07-4, 13-2
[답안]
서류상으로 공동도급의 형태를 취하나 실제로는
한 회사가 공사를 주도하고 나머지 회사는
하도급형태이거나 단순이익배당을 받는
일종의 담합형태이다.
문제 2. 다음은 지반 조사법 중 보오링에 대한
설명이다.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3점) ☞ 95-5,
97-4, 02-2, 03-1, 06-2, 07-2, 07-4, 13-2
가. 비교적 연약한 토질에 수압을 이용하여
탐사하는 방식
나. 경질층을 깊이 파는 데 이용되는 방식
다. 지층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비교적 정확히
알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식
[답안]
가. 수세식 보링 나. 충격식 보링
다. 회전식 보링
문제 3. 기준점(bench mark)의 정의 및
설치시 주의사항을 3가지 쓰시오. (5점)
☞ 96-4, 04-4, 07-4, 11-1
[답안]
가. 정의 :
시공 중 건물 높이의 기준이 되는 점
나. 주의사항 :
① 이동되지 않아야 한다.
② 2개소 이상 설치한다.
③ 바라보기 좋고 공사에
지장이 없는 곳에 설치
문제 4. 생콘크리트 측압에서 콘크리트 헤드에
대하여 간단하게 쓰시오(2점) ☞ 07-4
[답안]
타설된 콘크리트 윗면으로부터
최대측압면까지의 거리
문제 5. 다음 그림과 같은 철근 콘크리트
T형 보에서 주근 철근이 1단으로 배근될 때 배근
가능한 개수를 구하시오.(단, 보의 피복두께는
3cm이고, 늑근은 D10-@200이며, 주근은
D16을 이용하고, 사용 콘크리트의 굵은 골재
최대 치수는 200㎜이며, 이음정착은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4점) ☞ 95-2, 97-1, 04-4, 07-4
[답안]
1) 철근의 간격
① 25mm 이상
② 1.25×G(굵은 골재 최대 치수)
③ 1.5×D(주근) 중 큰 값
∴ ① 25
② 1.25×20=25
③ 1.5×16=24
2) 보의 최소폭 b ≥ (피복두께+늑근 직경)×2
+(주근 직경×개수)+{순간격×(개수-1)}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3) 40 ≥ (3+1)×2+(1.6×n)+2.5×(n-1) 에서
n=8.4
따라서, 사용 주근 개수는 8개이다.
문제 6. 콘크리트 공사에서 다음 설명에 알맞은
용어를 보기에서 골라 번호로 쓰시오.
(4점) ☞ 07-4
가. 물시멘트비를 일정하게 유지 시키면서
골재를 계량하는 장치
나. 모래의 용적계량 장치
다. 모르타르를 압축공기로 분사하여 바르는
콘크리트 시공방법
라. 콘크리트를 부어넣은 후 블리딩 수의 증발에
따라 그 표면에 나오는 미세한 물질
[보기]
① 디스펜서 ② 이넌 데이트 ③ 쇼트 크리트
④ 컨시스턴시 ⑤ 워세 크리터 ⑥ 레이턴스
[답안]
가. ⑤ 나. ② 다. ③ 라. ⑥
문제 7. 콘크리트의 각종 join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4점)☞ 95-4, 98-3, 07-4
[답안]
가. Cold joint:
콘크리트 타설시 응결하기 시작한 콘크리트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이어칠 때 일체화가
저해되어 생기게 되는 줄눈
나. Construction joint:
콘크리트타설시 경화된 콘크리트와 이어 부은
콘크리트와의 경계선으로 구조물의
응력이 작은 곳에서 계획한다.
다. Control joint:
미리 홈을 내어 건조수축,온도변화에 의한
균열을 유도하기 위해 설치하는 줄눈
라. Expansion joint:
압력 이나 온도차에 의한 신축을
흡수하기 위해 설치하는 줄눈
문제 8. 혼화재(混和材)와 혼화제(混和劑)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혼화재 및 혼화제의
종류를 3가지 씩 쓰시오. (6점) ☞ 07-4
[답안]
1) 혼화재의 정의 :
시멘트 사용량의 5% 이상
배합되는 콘크리트 성능 개선재료,
2) 혼화재의 종류 :
① 플라이에쉬 ② 포촐란 ③ 고로 슬래그
3) 혼화제의 정의 :
시멘트 사용량의 5%이하
소량 사용되는 콘크리트 성능 개선재료
4) 혼화제의 종류 :
① AE제 ② 응결 촉진제 ③ 응결 지연제
문제 9. Prestressed concrete 중 post
tension 공법의 시공순서를 보기에서 골라
번호로 쓰시오.(4점) ☞ 96-5, 98-3, 07-4
[보기]
① 콘크리트 경화 ② 강현재 고정
③ 시스(Sheathe) 설치 ④ 강현재 긴장
⑤ 콘크리트 타설 ⑥ 그라우팅 ⑦ 강현재 삽입
[답안]
③-⑤-①-⑦-④-②-⑥
문제 10. 철골 세우기에서 기초상부 고름질의
방법을 3가지만 쓰시오. (3점)
☞ 95-1, 07-4, 11-2
[답안]
가. 전면 바름 마무리법
나. 나중 채워넣기 중심 바름법
다. 나중 채워넣기 +자 바름법
문제 11. 철골공사에서 고장력 볼트조임의
장점에 대하여 4가지를 쓰시오. (4점)
☞ 95-5, 99-1, 99-5, 03-2, 07-4
[답안]
가. 소음 및 진동이 없다
나. 피로 강도가 높다
다. 접합부의 강도가 크다.
라. 현장 시공 설비가 간단하다.
문제 12. 다음은 철골조 기둥공사의 작업 흐름도
이다. 알맞은 번호를 보기에서 골라 ( )를
채우시오. (4점) ☞ 95-3, 07-4
[보기]
① 본접합 ② 세우기 검사 ③ 앵커 볼트 매립
④ 세우기 ⑤ 중심 내기 ⑥ 접합부의 검사
[답안]
가-⑤ 나-③ 다-④
라-② 마-① 바-⑥
문제 13.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2점)
고장력 볼트의 조임의 표준볼트의 장력을 얻을 수
있도록 1차조임, 금매김, 본조임의 순서로 행한다.
표준볼트 장력을 얻을 수 있는 볼트의 등급인
고장력볼트 F10T에서 10이 가르키는 의미는?
[답안]
볼트의 인장강도 10tf/㎠ (=1kN/㎟=1MPa)
문제 14. 보강 콘크리트 블록구조에서
모르타르 사춤 위치를 3가지만 쓰시오.
(2점) ☞ 97-5, 07-4
[답안]
가. 세로 철근 삽입부
나. 벽끝, 교차부 모서리
다. 개구부 주위
문제 15. 다음의 용어를 설명하시오. (4점)
☞ 92-3, 07-4
[답안]
가. 예민비 :
이긴시료에 대한 자연시료의 강도의 비
나. 지내력시험 :
지반면에 하중을 가해
기초지반의 지지력을 추정하는 시험
다. 지내력시험의 종류 :
평판재하시험, 말뚝재하시험
문제 16. 다음의 용어를 설명하시오. (4점) ☞ 07-4
[답안]
가. 성능발주방식 :
발주자 설계-시공까지 건물의 요구성능만을
제시하고 시공자가 재료나 시공방법 선택하여
요구성능 실현하는 방식
나. CM :
설계부터 각종 공사정보의 활용성을 고려하여
원가절감 및 공기단축을 꾀할 수 있는
설계외 시공의 통합시스템
다. L.C.C :
건축물의 계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해체등
건설생산 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총비용
라. 실비청산 보수 가산 도금 :
공사비의 실비를 3자 입회하에 확인 청산하고
건축주는 미리 정한 보수율에 따라
공사비를 지급하는 방식
문제 17. 다음 설명이 뜻하는 용어를 쓰시오. (4점)
가. 건설공사 계약 체결 후 공사착수시까지의 준비기간 :
나.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지정공기와 계산공기를
일치시키는 과정 :
다. 작업을 1일 단축할 때 추가되는 직접비용 :
[답안]
가. 리드타임 나. 공기조정 다. 비용구배
문제 18. T.E.S(Two envelope system : 선기술
후가격 협상제도)를 설명하시오. (3점) ☞ 07-4
[답안]
공사 입찰시, 기술제안서와 가격제안서를 따로 받아
기술능력우위업체 중 예정가격 내에서
협상에 의해 낙찰하는 제도
문제 12. 다음 용어를 설명하시오. (4점) ☞ 07-4
[답안]
가. 정초식 :
기초공사 완료시에 행하는 의식
나. 상량식 :
지붕공사가 완료될 때 행하는 의식.
건축적산
문제 19. 실시설계도서가 완성되고 공사물량산출
등 견적업무가 끝나면 공사예정가격작성을 위한
원가게산을 하게 된다. 원가계산기준 중 아래
내용에 대한 답안을 쓰시오. (3점) ☞ 07-4
가. 공사시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재료비,
노무비, 경비의 합계액 :
나, 기업의 유지를 위한 관리활동부문에서
발생하는 제비용 :
다. 공사계약목적물을 완성하기 위하여
직접 작업에 종사하는 종업원 및 기능공에
제공되는 노동력의 댓가 :
[답안]
가. 공사원가 나. 일반관리비 다. 직접노무비
문제 20. 다음 ( )안에 알맞은 숫자를 써 넣으시오.
(4점) ☞ 07-4
건축공사표준품셈에 규정한 소운반거리는 ( 가 )m
이내이며, 경사면 소운반의 경우 직고 1m를
수평거리 ( 나 )m의 비율로 본다.
[답안]
가. 20 나. 6
문제 20. 아래 평면의 건물높이가 16.5m일 때
비계면적을 산출하시오. (단, 쌍줄비계로 함)
(4점) ☞ 07-4
건축 적산 / 쌍줄비계 면적 / 건축적산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문제 21. 다음 그림과 같은 독립기초의 흙파기량,
되메우기량, 잔토 처리량을 각각 산출하시오. (단,
토량환산계수 L=1.2)(6점) ☞ 91-1, 02-2, 07-4
[답안]
1) 기초터파기량
=(1/6)×{(2×2.7+1.9)×2.7+(2.7+2×1.9)×1.9}
=5.343㎥
2) 되메우기량
= 터파기량 – 지하 기초 구조부 체적
① 지하 기초 구조부 체적 = 1.5×1.5×0.4+
(0.2/6)(2×1.5+0.3)×1.5+(1.5+2×0.3)×0.3
+0.3×0.3×0.4 = 1.122㎥
② 되메우기량 = 5.343-1.122 = 4.221㎥
3) 잔토처리량 = (터파기량 – 되메우기량) × L
(5.343-4.221)×1.2 = 1.346㎥
네트워크 공정표 여유시간
문제 23. 다음 작업리스트에서 네트워크 공정표를
작성하고 각 작업의 여유 시간을 구하시오. (10점)
☞ 93-1, 96-5, 97-3, 99-1, 05-4, 07-4, 12-4,
18-1, 21-2
공정관리 26.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 여유시간 TF FF DF 계산 / 2021년 2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여유시간 TF, FF, DF 계산 2021년2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문제 26. 다음 데이터를 네트워크 공정표로 작성하고, 각 작업의 여유시간을 구하시오. (10점) ☞ 93-1, 96-5, 97-3, 99-1,
rich3651.tistory.com
건축품질관리
문제 24. 다음 TQC 도구의 목적을 기술하시오.
(4점) ☞ 00-5, 02-2, 07-2, 07-4
[답안]
가. 파레토도 :
불량항목과 원인의 중요성 발견
나. 특성요인도 :
결과에 미치는 불량의
원인 항목의 체계적 정리, 원인 발견
다. 층별 :
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많은 데이터를
어떤 특징에 따라 몇 개의 부분 집단으로 나눈 것
라. 산점도 :
서로 대응하는 두 개의 짝으로 된
데이터를 그래프 용지위에 점으로 나타낸 그림
'01-10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2008년 2회 (2) | 2023.03.11 |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2008년 1회 (0) | 2023.03.11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2007년 2회 (0) | 2023.03.10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2007년 1회 (0) | 2023.03.10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2006년 4회 (0) | 2023.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