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81

건축구조 09. 철근콘크리트 T형보의 유효폭 / 플랜지 / 철근콘크리트구조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문제 1. T형보에서 압축을 받는 플랜지 부분의 유효 폭을 결정할 때는 세 가지 조건에 의하여 산출된 값 중 가장 작은 값으로 결정하여야 하는데 이 세 가지 조건에 대해 기술하시오. (3점) ☞ 11-4, 23-1 [답안] 문제 2. 다음과 같은 조건의 대칭 T형보의 유효폭을 구하시오(4점) ☞ 20-5 [조건] 슬래브의 두께 : 200㎜ 복부 폭 : 300㎜ 양쪽 슬래브의 중심간 거리 : 3,000㎜, 보 경간(Span) : 6,000㎜ [답안]

건축구조 08. 철근콘크리트 강도감소계수 / 순인장변형률 / 철근콘크리트구조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보의 설계 / 강도감소계수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문제 6. 휨 부재의 공칭강도에서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 εt=0.004일 경우 강도감소계수 Φ를 구하시오.(3점) ☞ 12-2, 16-4 [답안] [해설] 문제 2.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보가 fck=21MPa, fy=400MPa D22(단면적 387㎟ 일 때 강도감소계수 ɸ=0.85를 적용함이 적합한지 부적합한지를 판정하시오. (4점) ☞☞ 14-4, 11-2 구조기준 KDS (2022) 변경 [답안] [기본개념]

건축구조 07. 철근콘크리트 지배단면 / 인장지배단면 / 압축지배단면 / 변화구간단면 / 순인장변형률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철근콘크리트 지배단면 인장지배단면 / 압축지배단면 / 변화구간단면 문제 1. 인장지배단면의 정의를 쓰시오.(3점) ☞ 21-4 [답안] 압축연단 콘크리트가 가정된 극한변형률인 0.003에 도달할 때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 εt가 0.005 이상인 단면 문제 2. 다음이 설명하는 용어를 쓰시오.(2점) ☞ 18-2 압축연단 콘크리트가 가정된 극한변형률인 0.003에 도달할 때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 εt가 0.005 이상인 단면 : [답안] 인장지배단면 문제 3.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최외단 인장철근의 순인장변형률을 산정하고, 이 보의 지배단면(인장지배단면, 압축지배단면, 변화구간단면)을 구분하시오. (4점) ☞ 12-1 (단, As=1,927㎟, fck=24MPa, fy=400M..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2013년 1회

2013년 1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문제 1. 건축주와 시공자간에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써 실비한정비율보수가산식을 적용하여 계약을 체결했으며, 공사완료 후 실제소요 공사비를 상호 확인한 결과 90,000,000원이었다. 이때 건축주가 시공자에게 지불해야 하는 총 공사금액은 얼마인가? (3점) ☞ 09-2, 13-1 [계약조건] 1) 한정된 실비 : 100,000,000원, 2) 보수비율 : 5% [답안] 실비한정 비율보수가산식 A'+A'×f 에서 A': 한정된 실비, f : 비율보수 (한정된 실비 보사 실제 공사비가 작은 경우 실제공사비 적용) =95,000,000원 문제 2. 다음에 제시한 흙막이 구조물 계측기 종류에 적합한 설치 위치를 한 가지씩 기입하시오. (4점) ☞ 13-1 [답안] 가.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2012년 4회

2012년 4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문제 1. Life Cycle Cost (LCC)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시오. (2점) ☞ 12-4 [답안] 건물의 초기계획단계에서 설계, 시공, 유지관리, 해체에 이르는 전생애 비용 문제 2. 지내력 시험방법 2가지를 쓰시오. (2점) ☞ 01-1, 12-4 [답안] 평판재하시험, 표준관입시험 문제 3. 지반조사를 위한 보링의 종류를 3가지 쓰시오. (3점) ☞ 12-4 [답안] 가. 수세식, 나. 충격식, 다. 회전식 문제 4.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터파기를 했을 경우, 인접 건물의 주위 지반이 침하할 수 있는 원인을 3가지 쓰시오. (단, 일반적으로 인접하는 건물보다 깊게 파는 경우) (3점) ☞ 12-4 [답안] 1) 히이빙 2) 보일링 3) 파이핑 문제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2012년 2회

2012년 2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문제 1. 공사내용의 분류방법에서 목적에 따른 Breakdown strucutre의 3가지 종류를 쓰시오. (3점) ☞12-2 [답안] 1) 작업분류체계(WBS), 2) 조직분류체계(OBS), 3) 원가분류체계(CBS) 문제 2. 지반 개량공법 중 샌드드레인 공법 (Sand Drain)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점) ☞12-2 [답안] 연학한 점토질 지반에서 철관을 이용하여 모래말뚝을 형성하고 점토지반의 압밀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지반 개량공법 문제 3. 흙막이벽의 계측에 필요한 기기류를 3가지만 쓰시오. (3점) ☞12-2 [답안] ① 하중계, ② 토압계, ③ 변형율계 문제 4. 탑다운 공법(Top-down method)공법은 지하구조물의 시공순서를 지상에서부터..

구조역학 22. 기둥과 기초판의 압축응력 / 최대압축응력 / 중심축하중 / 편심하중 / 핵반경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기둥과 기초의 응력 중심축하중 / 편심하중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1. 중심축하중을 받을 때 2. 편심 하중을 받을 때 3. 기둥과 기초의 편심하중에 의한 응력도 4. 핵반경 5. 기초의 길이 6. 기초의 면적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문제 1. 그림과 같은 구조물이 고정단에 발생하는 최대 압축응력을 구하시오. (단, 기둥 단면은 600㎜×600㎜, 압축응력은 ―로 표현)(3점) ☞ 13-4 [답안] 문제 2. 다음 그림과 같은 독립 기초에 발생하는 최대압축응력(MPa)을 구하시오.(4점) ☞ 18-2 [답안]

구조역학 21. 보의 휨응력 / 휨강도 / 단순보 / 보의 응력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단순보의 휨응력 / 휨강도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문제 1. 그림과 같은 무근콘크리트 단순보에서 P=12kN의 하중에서 파괴되었을 때 휨강도를 구하시오. (4점)☞ 13-4, 20-2 [답안] 1)) 전단력도의 최대면적=최대휨모멘트. Mmax=12,000×150㎜ =1,800,000N㎜ [해설] 1) 최대휨모멘트 ① 대칭하중 이므로 Va=Vb=P=12,000N ② 최대휨모멘트는 Va와 P 사이의 우력모멘트이다 [기본 정리] 문제 2. 그림과 같은 단순보의 C점에서의 최대 휨응력을 구하시오. (3점) ☞ 14-4 [답안] ΣMb=0 Va×5-100×3-200×1=0 Va=100kN Mc = 100×2.5-100×0.5 = 200kNm [해설] 문제 3. 그림과 같은 단순보의 최대 휨응력을 구하시오. (단, ..

구조역학 15. 재료의 역학적 성질 / 압축응력 / 변형률 / 탄성계수 / 선팽창계수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재료의 역학적 성질 압축응력 / 변형률 / 탄성계수 문제 1. 다음 그림을 보고 물음에 답하시오. (단, 축하중 P=1,000kN) (3점) ☞ 16-2 1) 압축응력 : 2) 길이방향 변형률 : 3) 탄성계수 : [답안] 1) 압축응력 : (1,000×1,000)/(100×100) =100MPa 2) 길이방향 변형률 : 10/1,000=0.01 3) 탄성계수 : 100/0.01=1,000MPa [해설] 문제 2. 철근콘크리트의 선팽창 계수가 이라면 10m 부재가 10℃의 온도 변화시 부재의 길이 변화량은 몇 cm인가? (3점) ☞ 05-2, 10-2 [답안] 문제 3. 강재의 탄성계수 205,000MPa, 단면적 10㎠, 길이 4m, 외력으로 80kN의 인장력이 작용할 때 변형량을 구하시오. (2점)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2012년 1회

2012년 1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문제 1. 설계·시공 일괄계약(design-build) 장·단점을 각각 2가지 쓰시오. (4점) ☞ 12-1 [답안] 가. 장점 ① 책임시공으로 책임한계 명확, ②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저감노력 나. 단점 ① 건축주의 의도 반영 어려움 ② 대규모회사에 유리 문제 2. 가설공사의 수평규준틀 설치 목적을 2가지 쓰시오 ☞ 12-1 [답안] ① 건물의 각부 위치를 정확히 표시 ② 건물의 높이, 기초나비, 길이등을 정확하게 결정 문제 3. 다음 용어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4점) ☞ 12-1 [답안] 가. 히빙현상 : 연약한 점토지반에서 하중 차로 인하여 바깥 흙이 안으로 밀려 들어오는 현상 나. 보일링현상 : 모래질 지반에서 유입되는 물과 모래가 같이 솟아오르는 현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