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3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2014년 4회

we together 2023. 4. 5. 19:40

2014년 4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문제 1. VE의 사고방식에 대하여 4가지를

쓰시오. (4) 14-4

[답안]

고정관념 제거

사용자 중김의 사고

기능중심의 접근

집단사고

(Team Design의 조직적 노력)

 

문제 2. BOT(Build-Operate-Transfer

contract)방식을 설명하시오. (3) 14-4

[답안]

비용과 설계 시공을 책임완성 후 일정기간

운영 관리하여 그 이익금액으로 공사대금을

회수하고 발주처에게 인도하는 방식으로써

주로 민자유치를 통한 사회간접자본(Soc)

건설공사 등에 사용된다.

 

문제 3. 토질의 종류와 지반의 허용응력도에

관하여 ( )안을 알맞은 내용으로

채우시오. (5) 14-4

1) 장기허용지내력도

경암반 : ( ) kN/

연암반 : ( ) kN/

자갈과 모래의 혼합물:( )kN/

모래 : ( ) kN/

2) 장기허용지내력도

=장기허용지내력도× : ( )

[답안]

경암반 : 4,000kN/

연암반 : 1,0002,000kN/

자갈과 모래의 혼합물 : 200kN/

모래 : 100 kN/

2) 장기허용지내력도

=장기허용지내력도×1.5

 

문제 4. Sand drain 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14-4

[답안]

연약한 점토질 지반에 구멍을 뚫고

모래말뚝을 만든 뒤 점토지반을 압밀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지반 개량공법

 

문제 5. 주열식 지하 연속벽 공법의

특징(장점) 4가지를 쓰시오. (4) 14-4

[답안]

. 소음과 진동이 적다.

. 벽체의 강성이 높다.

. 차수성이 우수하다.

. 지반조건에 좌우되지 않는다.

 

문제 6. 다음 거푸집 공법을 비교

설명하시오. (6) 14-4

[답안]

. 슬라이딩 폼(Sliding form):

시공이음 없이 균일한 형상으로 시공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연속으로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 거푸집

. 와플 폼(Waffle form):

무량판 또는 평판구조에서 2방향 장선

바닥판 구조가 가능하도록 특수

상자모양으로 한 기성재 거푸집

. 터널 폼(Tunnel form):

벽과 바닥의 콘크리트 타설을 한 번에

할 수 있도록 벽체용 거푸집과 슬래브

거푸집을 일체로 제작하여 한 번에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게 한 거푸집

 

문제 7. 다음 콘크리트 공사에 관한 용어에

대하여 간략하게 기술하시오. (4) 14-4

[답안]

. 블리딩(Bleeding) :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물이 윗면에 스며오르는 현상

. 레이턴스(laitance) :

콘크리트를 부어넣은 후 블리딩수의

증발에 따라 그 표면에 발생하는

백색의 미세한 물질

 

문제 8.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 저감을

위한 대책 3가지만 쓰기. (3) 14-4

[답안]

단위시헴트량을 적게

수화열이 낮은 시멘트사용

타설온도 저하

 

문제 9. 플랫슬래브(플레이트)구조에서

2방향 전단에 대한 보강방법을

4가지 쓰시오. (4) 14-4

[답안]

1) 슬래브의 두께를 키운다.

2) 주두판(capital)을 설치한다

3) 기둥과 만나는 부분에

전단력 보강용 대각선 철근 배근

4) 기둥과 만나는 부분에

C형강이나 H형강 보강 설치

 

문제 10. Pre-Stressed Concrete에서

Pre-Tension 공법과 Post-Tension 공법의

차이점을 시공순서를 바탕으로 쓰시오.

(4) 14-4

[답안]

1) 프리탠션(Pre-Tension) 방식

PS 강재에 긴장을 가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경화 후 단부에서

인장력을 풀어주어 콘크리트에

압축력을 가하는 방식

2) 포스트텐션 (Post-Tension) 방식

쉬드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후

쉬드 구멍에 강현재를 삽입하여

긴장시켜 시멘트페이스트로 그라우팅한

후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방식

 

문제 11. 철골 용접접합에서 발생하는

결함항목을 4가지만 쓰시오.(4)

12-4, 13-4, 14-4

[답안]

언더 컷, 오버랩

블로우 홀, 크랙

 

문제 12. 그림에서 제시하는 볼트의

전단파괴에 대한 명칭을 쓰시오 (4)

[답안]

1면전단, 2면전단

 

문제 13. 다음의 철골접합부 그림은

보와 기둥의 모멘트 접합부 상세이다.

기호로 지적된 부분의 명칭을 적으시오.

(3) 14-4

[답안]

. 스티프너 나. 웨브플레이트

. 플랜지플레이트

 

문제 14. 조적조를 바탕으로 하는 지상부

건축물의 외부벽면 방수방법의 내용을

3가지 쓰시오.(3) 14-4

[답안]

1) 시멘트 액체방수, 2) 도막방수

3) 수밀재 불임방수

 

문제 15. 벽타일 붙이기 시공순서를

쓰시오. (4) 14-4

바탕처리 ( ) ( )

( ) ( )

[답안]

타일나누기 벽타일 붙이기

치장줄눈 보양

 

문제 16. 커튼월 공사에서 구조체의 층간변위,

커튼월의 열팽창, 변위 등을 해결하는

긴결방법 3가지를 쓰시오 (3) 14-4

[답안]

고정방식 회전방식 슬라이드방식

건축적산

문제 17. 아래 그림에서 한 층분의 물량을

산출하시오.(10)98-3, 04-1, 14-4

 

◐ 건축적산 08. 콘크리트량 / 거푸집면적 / 시멘트량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콘크리트량 / 거푸집면적 / 시멘트량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문제 8. 다음 그림에서 한 층분의 물량을 산출...

blog.naver.com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 TF FF DF

문제 18. 다음 데이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공정표를 작성하고, 각 작업의 여유시간을

계산하시오. (10)

90-2, 95-3, 00-1, 00-4, 04-1, 07-2,

10-4, 14-4, 15-1, 20-1, 20-2

 

공정관리 17.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 여유시간 / TF FF DF / 공정표 작성 / 2020년 2회 건축기사실기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TF, FF, DF 2020년2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문제 17. 다음 데이타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공정표를 작성하고, 각 작업의 여유시간을 계산하시오. (10점) ☞ 90-2, 95-3, 00-1, 00-4, 04-1

rich3651.tistory.com

재료시험

문제 19. 다음 계측기의 종류에 맞는 용도를

골라 번호로 쓰시오 (6) 04-4, 14-4

[종류]

. Piezometer, . Inclinometer

. Load cell, . Extensometer

. Strain gauge, . Tiltmeter

[용도]

하중 측정 인접건물의 기울기도 측정

Strut 변형 측정 지중 수평 변위 측정

지중 수직 변위 측정

간극수압의 변화 측정

[답안]

. , . , .

. , . , .

품질관리

문제 20. TQC에 이용되는 도구 중

다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04-1, 14-4

[답안]

1) 특성요인도

결과에 미치는 불량의 원인 항목의

체계적 정리, 원인 발견

2) 산점도

서로 대응하는 두 개의 짝으로 된 데이터를

그래프 용지위에 점으로 나타낸 그림

구조역학

문제 21. 다음의 H형강 x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를 계산하시오. 14-4

 

구조역학 18. 단면2차모멘트 / 축의 이동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단면2차모멘트 / 축의 이동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문제 1. 다음 그림의 X축에 대한 단면2차모멘트를 구하시오. ☞ 12-2 [답안] [해설] 단면2차모멘트 축의 이동 공식 중심축으로 이동한 거리 –d/4

rich3651.tistory.com

문제 22. 그림과 같은 단순보의 C점에서의

최대 휨응력을 구하시오. (3) 14-4

 

구조역학 21. 보의 휨응력 / 휨강도 / 단순보 / 보의 응력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단순보의 휨응력 / 휨강도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문제 1. 그림과 같은 무근콘크리트 단순보에서 P=12kN의 하중에서 파괴되었을 때 휨강도를 구하시오. (4점)☞ 13-4, 20-2 [답안] 1)) 전단력도의 최대

rich3651.tistory.com

철근콘크리트구조

문제 23. 그림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보의

강도감소계수를 산정하시오.(3) 14-4

구조설계기준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