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5회
건축기사실기시험 기출문제
문제 1. 다음 설명이 가리키는 용어명을
쓰시오. (3점) ☞ 95-5
가. 건설업체의 공사 수행 능력을 기술적 능력
, 재무 능력, 조직 및 공사 능력 등 비가격 요인을
검토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업체에 입찰 참가자격을 부여하는 제도:
나. 발주자가 요구하는 성능, 품질을 보장하면서
가장 싼 값으로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찾고자 하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공사 방법:
다. 설계에서부터 각종 공사정보의 활용성을
고려하여 원가절감 및 공기단축을
꾀할 수 있는 설계와 시공의 통합 시스템
[답안]
가. 입찰 참가자격 사전 심사제도
(PQ:Pre-Qualification)
나. 성력화(VE:Value Engineering)
다. 일괄 입찰 방식
(CM:Construction Management)
문제 2. 공사비 지불방식에 따른 도급방식 중
실비정산보수가산 도급에서 공사비 산정
방식의 종류를 4가지 쓰시오. (4점) ☞ 95-5
[답안]
가. 실비 비율 보수가산 도급
나. 실비 한정비율 보수가산 도급
다. 실비 정액 보수가산 도급
라. 실비 준동률 보수가산 도급
문제 3. 다음은 지반 조사법 중 보링에
대한 설명이다.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
(3점) ☞ 95-5
가. 비교적 연약한 토질에 수압을
이용하여 탐사하는 방식
나. 경질층을 깊이 파는 데 이용되는 방식
다. 지층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비교적
정확히 알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식
[답안]
가. 수세식 보링
나. 충격식 보링
다. 회전식 보링
문제 4. 세로 규준틀에 기입해야 할
사항을 4가지 쓰시오. (4점) ☞ 95-5
[답안]
가. 개구부의 위치
나. 쌓기 단수
다. 테두리보, 인방보의 위치
라. 앵커, 매립철물의 위치
문제 5. 토공사에서 흙의 전단강도
공식을 쓰고 설명하시오. (4점) ☞ 95-5
문제 6. 건축물의 부동침하 원인에 대하여
5가지를 쓰시오. (3점) ☞ 95-5
[답안]
가. 지반이 연약한 경우
나. 연약층의 두께가 상이한 경우
다. 이질지층에 걸쳐 있을 경우
라. 낭떠러지에 접근되어 있을 경우
마. 부주의하게 일부증축을 하였을 경우
문제 7. 콘크리트의 재료분리의 원인 및 대책에
대하여 각각 3가지씩 쓰시오. (4점) ☞ 95-5
[답안]
가. 원인:
①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가 큰 경우
② 단위 골재량이 너무 많은 경우
③ 단위 수량이 큰 경우
나. 대책:
① 골재의 적정 배합
② 단위 사용 수량 감소
③ 감수제 등의 혼화제의 적정량 사용
문제 8. 콘크리트 타설시 현장 가수로 인한
문제점을 4가지 쓰시오. (4점) ☞ 95-5
[답안]
가. 콘크리트 강도 저하
나. 재료 분리 현상 유발
다. 콘크리트 건조수축률의 증대
라. 콘크리트 응결 지연
문제 9. 콘크리트의 시공연도(workability)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4가지 쓰시오. (4점) ☞ 95-5
[답안]
가. 시멘트의 종류
나. 물․시멘트비
다. 골재의 입도
라. 혼화제의 성질
문제 10. 염분을 포함한 바다모래를 골재로
사용하는 경우 철근부식에 대한 방청상
유효한 조치를 3가지 쓰시오. (3점) ☞ 95-5
[답안]
가. 철근 표면에 아연도금 처리
나. 에폭시를 코팅한 철근 사용
다. 방청제 등의 혼화제를 콘크리트에
혼합하여 사용
문제 11. 다음에서 설명하는 공구 및
기구를 쓰시오. (5점) ☞ 95-5
가. 펀치 또는 드릴로 뚫은 구멍의 지름을
정확하고 보기 좋게 가다듬는 공구:
나. 리벳치기 공구의 일종으로 불에 달군
리벳을 판금의 구멍에 넣고 그 머리를
누르면서 받쳐주는 공구:
다. AE제의 계량장치:
라. 거푸집 긴장철선을 콘크리트
경화 후 절단하는 절단기
마. 종방향의 미세한 변형량을 시계형으로
확대시켜 정확한 침하량을 측정하는
기구로서 지내력 시험에 이용되는 기구
[답안]
가. 리머
나. 리벳 홀더
다. 디스펜서
라. 와이어 클리퍼
마. 다이얼 게이지
문제 12. 철골공사에서 고장력 볼트조임의
장점에 대하여 4가지를 쓰시오. (4점) ☞ 95-5
[답안]
가. 재해의 위험이 적다.
나. 소음이 적다.
다. 불량 개소의 발견이 쉽다.
라. 현장 시공 설비가 간단하다.
문제 13. 일반적인 벽돌 및 블록쌓기 순서를
보기에서 골라 기호로 쓰시오. (4점) ☞ 95-5
[보기]
① 접착면 청소 ② 중간부 쌓기 ③ 보양
④ 줄눈 누르기 ⑤ 물축이기 ⑥ 줄눈파기
⑦ 규준쌓기 ⑧ 치장줄눈
[답안]
①-⑤-⑦-②-④-⑥-⑧-③
문제 14. 다음 설명 중 ( ) 안에 알맞은 말
또는 숫자를 써 넣으시오. (3점) ☞ 95-5
벽돌, 블록 및 돌쌓기 등 조적재를 쌓은 다음
줄눈시공은 먼저 쌓은 줄눈을 곧바로 ( ① )를
하여 두고, 시기를 보아 깊이 10mm 정도 ( ② )를
하며, 벽면을 청소한 후 ( ③ )을 시공한다.
줄눈 모양은 특별한 지정이 없을 때에는 ( ④ )으로
하고 조적면에서 ( ⑤ )mm 정도 들여밀며 갓둘레는
반듯하게 조적면과 잘 접착이 되도록 한다.
[답안]
① 줄눈 누르기
② 줄눈파기
③ 치장 줄눈
④ 평줄눈
⑤ 2
문제 15. 지하실 방수공법으로서 바깥방수와
안방수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4점) ☞ 95-5
[답안]
가. 바깥방수:
수압 처리 능력이 우수하여
깊은 지하실 방수에서 유리하며 ,
바탕을 따로 만들어야 하며 본공사에
선행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나. 안방수:
시공 비용이 비교적 싸며
공사가 간단하고 시공 시기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문제 16. 타일공사에서의 open time을
설명하시오. (3점) ☞ 95-5
[답안]
타일 붙이기 작업시 모르타르를 먼저
펴발라 놓은 후 타일을 붙일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open time이라 하며,
이 open time이 길어지면 모르타르의
접착강도 저하로 타일 박락의 원인이 된다.
문제 17. 다음 공사의 시공 순서가 위에서부터
아래인지 또는 아래에서부터
위인지 적으시오. (5점) ☞ 95-5
가. 외벽미장:( ① )에서부터 ( ② )
나. 실내 타일 붙이기:( ③ )에서부터 ( ④ )
다. 수직부 용접:( ⑤ )에서부터 ( ⑥ )
라. 외벽 타일 붙이기(고층 압착 공법):
( ⑦ )에서부터 ( ⑧ )
마. 실외도장:( ⑨ )에서부터 ( )
[답안]
가. ① 위 ② 아래
나. ③ 아래 ④ 위
다. ⑤ 아래 ⑥ 위
라. ⑦ 위 ⑧ 아래
마. ⑨ 위 아래
건축적산
문제 18. 다음과 같은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철근 중량을 산출하시오.(7점) ☞ 95-5
(단, D22=3.04㎏/m, D10=0.56㎏/m이고
혹크(hook)의 길이는 고려하지 않는다)

[답안]
1) 상부근(2-D22) :
(6.4+40×0.022×2)×2=16.32m
2) Bend근(2-D22) :
(6.4+40×0.022×2+0.41×0.5×2)×2=17.14m
3) 하부근(2-D22) :
(5.6+25×0.22×2)×2=13.4m
4) 늑근(D10) :
2(0.3+0.6)×(5.6÷0.3×1.5+1}=52.2m
D22 : 3.04×(16.32+17.14+13.4)=142.454kg
D10 : 0.56×52.2=29.232 kg
총중량 : 142.46+29.24=171.7kg
[해설]
1) 6.4=기둥 외측까지의 길이 (최상층의 경우)
2) ×2(양쪽)×2(2개)
3) 2(0.3+0.6) : 늑근 길이 (보의 외주길이)
4) ÷0.3(중앙부 간격)×1.5(단부추가 50%)+1개 추가
문제 19. 다음 그림과 같은 창고를 시멘트 벽돌로
신축하고자 할 때 벽돌 쌓기량(매)과 내외벽
시멘트 미장할 때 미장면적을 구하시오.
(8점) ☞ 95-5 ☞ 95-5, 03-2, 09-1, 13-1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및 여유시간
문제 20. 다음 데이터를 네트워크 공정표를 작성하고
각 작업의 전체여유(T.F)와 자유여유(F.F)를
구하시오.(8점) ☞ 95-5 90-4, 92-3, 95-5,
97-1, 02-4, 04-2, 14-1, 14-2, 22-4
공정관리 22.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 여유시간 TF FF DF 계산 / 2022년 4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여유시간 TF, FF, DF 계산 2022년4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문제 22. 다음 데이터를 네트워크 공정표를 작성하고 각 작업의 전체여유(T.F)와 자유여유 (F.F)를 구하시오. (8점) ☞
rich3651.tistory.com
재료시험 / 품질관리
문제 21. 품질관리 시험의 종류를
3가지 쓰시오. (3점) ☞ 95-5
[답안]
가. 선정 시험
나. 관리 시험
다. 검사 시험
문제 22. 콘크리트의 유효흡수량에
대해 기술하시오. (3점) ☞ 95-5
[답안]
골재의 흡수량과 기건 상태
골재 내에 함유된 수량과의 차
문제 23. 현장에 반입된 2급 블록의
품질시험을 위하여 압축강도 시험을 실시한 결과
50ton, 60ton, 55ton에서 파괴되었다면
현장에 반입된 블록의 압축강도를 구하고 2급 블록
규격의 합격 및 불합격을 판정하시오.(단,
구멍을 공제한 중앙부의 순단면적은 460cm2이고
규격은 390mm×190mm×190mm이다.)
(4점) ☞ 95-5
[답안]
평균 압축강도
>60kg/cm274.2
60kg/cm2(2급 블록의 기준 압축강도)
합격
문제 24. 콘크리트의 설계기준강도가 210kg/cm2,
배합강도가 240kg/cm2인 콘크리트에서 표준편차가
20kg/cm2라면 배합 설계시 이 콘크리트의
변동계수를 구하시오. (3점) ☞ 95-5
[답안]

'95-00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1996년 2회 (0) | 2023.02.08 |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1996년 1회 (0) | 2023.02.08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1995년 4회 (0) | 2023.02.08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1995년 3회 (0) | 2023.02.07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1995년 2회 (0) | 2023.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