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표작성 6

공정관리 12.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 EST, EFT, LST, LFT / 선행작업과 더미 / 일정계산 / 2020년3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2020년3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선행작업과 더미 / 일정계산 문제 12. 다음 데이터를 네트워크 공정표로 작성하시오. ☞ 20-3 [답안] NET WORK 공정표 [해설] 1. 최초작업과 최종작업 파악 1) 선행 작업이 없음으로 A,C,D 작업은 최초 시작 작업이다. 2) 선행작업 목록에 없는 B,E 작업은 최종 작업이다. 3) 3개의 작업으로 시작해서 2개의 작업으로 끝나는 공정표이다 2. 데이터 표에서 더미 찾기 C,D 작업의 선행작업이 없음으로 같고, E의 선행작업이 C,D 이므로 C에서 D로 명목상 더미 발생 3. 공정표 작성법 1) 최초 시작 작업은 A,C,D 작업이다 2) 선행작업 A가 끝나고 B 작업 3) 선행작업 C,D가 끝나고 E 작업 C,D 작업이 시작과 끝이 ..

공정관리 11.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과 주공정선 / EST, EFT, LST, LFT / TT, FF, DF / 1990년1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1990년1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문제 11. 다음 데이터를 보고 Network 공정표를 작성하시오. ☞ 90-1 [답안] [해설] 1. 최초작업과 최종작업 파악 1) 선행 작업이 없음으로 A,B,C 작업은 최초 시작 작업이다. 2) 선행작업 목록에 없는 D,E,F 작업은 최종 작업이다. 2. 데이터 표에서 선행작업 찾기 1) F 작업의 선행작업 C와 E작업의 선행작업 B,C에서 작업 C가 끝나는 event에서 B가 끝나는 event로 실질적 더미 발생 2) E 작업의 선행작업 B,C와 D작업의 선행작업 A,B,C에서 작업 B,C가 끝나는 event에서 A가 끝나는 event로 실질적 더미 발생 3. 공정표 작성법 1) 최초 시작 작업은 A,B,C 작업이다 2) 선행작업 C가 끝나..

공정관리 10. 네트워크 공정표 일정계산 / EST, EFT, LST, LFT / TT, FF, DF / 1993년3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네트워크 공정표 EST, EFT, LST, LFT, TT, FF, DF 공정관리 일정계산 1993년3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문제 10. 주어진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일정시간, 여유시간 등을 계산하고, critical path를 구하고 다음의 표를 채우시오. ☞ 93-3 [답안] [해설] 1) critical path(주공정선)를 그리고 일정을 계산한다 EST=EFT=LST=LFT 2) 2번 event의 ET(전진계산)와 LT(역진계산)를 계산한다. 3) 주공정선의 작업에 여유시간 0을 쓰고 ※를 표시한다 4) 각 작업의 EST를 먼저 기입하고 공사일수를 더해서 EFT를 계산한다. (전진계산) 5) 각 작업의 LFT를 먼저 기입하고 공사일수를 빼서 LST를 계산한다. (역진계산) 6) 일정계산 된 공정표를..

공정관리 04.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의 기본 원칙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 건축산업기사실기 기출문제

1. Net work 작성의 기본 원칙 1) 단계의 원칙 : Activity의 시작과 끝은 반드시 Event로 연결되어져야 한다. 2) 공정의 원칙 : 작업의 순서에 합치되도록 작성해야 한다. 3) 활동의 원칙 : Event와 Event 사이에 반드시 하나의 Activity로써 연결되어져야 한다. 4) 연결의 원칙 : Start event에서 시작하여 모든 Activity는 반드시 Terminal event 까지 연결되어야 한다 2. Net work 작성법 ◐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법 ◑ 1) 하나의 Event와 event 사이에 둘 이상의 작업(A,B 등)이 존재 할 때 공기가 작은 작업의 뒤쪽에 dummy를 그리고 event 번호를 부여 한다 명목상 더미 발생 2) B, C 작업의 선행작업 : A 작업..

공정관리 03. 네트워크공정표 작성의 기본사항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 건축산업기사실기 기출문제

1.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순서 2. 공정표 작성시 주의사항 1) 시공 순서가 틀리지 않도록 한다. 2) 기초 공사는 옥외 작업이므로 날씨를 고려한다. 3) 구체 공사는 공기가 날씨에 좌우되나, 공장 가공이 많은 공정에서 공기를 단축 할 수 있다. (예: 철골 공사) 4) 마무리 공사는 날씨의 영향을 적게 받으나 공정 단계가 많으므로 충분한 공사 기간을 잡는다. 5) 공기를 단축하기 의해 각 공정을 정당히 중복되게 한다. 6) 비오는 날의 추정일수를 고려한다. 3. 기본규정 1) 작업에 대응하는 결합점이 표시 되어야 하고 그 작업은 하나로 한다. 2) 결합점에 들어오는 작업군이 모두 완료되지 아니하면 그 결합점에서 나가는 작업은 개시할 수가 없다. 3) 네트워크의 개시나 종료 결합점은 각기 하나씩이어야 ..

공정관리 01. 공정관리 일반사항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 건축산업기사실기 기출문제

제1장. 공정관리 일반 1. 공사관리 생산수단(5M)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공정, 원가, 품질, 안전 등에 대하여 좋은 것을 싸게, 빨리, 안전하게 만들 수 있도록 관리하는 기술이다. 2. 관리순서 Plan(계획)→Do(실시)→Check(검토) →Action(처리)을 반복 진행한다. 3. 공사관리의 3대 목표 4. 공사관리의 생산수단 5M과 목표 5R 5. 공정 관리의 의미 자재, 노무, 공사 기계 등 건축 생산에 필요한 제 자원을 가장 경제적으로 배치 운용하여 소정의 가치를 얻도록 지정된 공사 기일 내에 완성을 목표로 모든 생산 활동을 총괄적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계획(plan), 실시(do), 통제(see)의 단계로 구성되고 있다. 6. 공정표의 종류 1) 횡선 공정표(bar chart) 공사 순서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