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산업기사실기 83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1996년 1회

1996년 1회 건축기사실기시험 기출문제 문제 1. 실비정산식 계약제도의 장점을 2가지 들고 실비한정비율 보수가산식에 대해 기술하시오. (4점) ☞ 13-2 [답안] 가. 장점: ① 양심적 시공 가능 ② 공사 품질 향상 나. 실비한정비율 보수가산식: 공사 실비에 제한을 붙이고 시공자에게 제한된 금액 이내에서 공사를 완성할 책임을 주는 것으로, 실공사 금액에 따라 보수를 지급하는 방식. 문제 2. 특명 입찰(수의계약)의 장․단점을 각각 2가지씩 쓰시오. (4점) [답안] 가. 장점: ① 입찰 수속 간단, ② 양질의 시공 기대 나. 단점: ① 공사비 증대, ② 시공자의 독선 우려 문제 3. 턴 키 베이스(Turn key base) 제도의 장․단점을 각각 3가지씩 쓰시오. (4점) [답안] 가. 장점: ① 공..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1995년 5회

1995년 5회 건축기사실기시험 기출문제 문제 1. 다음 설명이 가리키는 용어명을 쓰시오. (3점) ☞ 95-5 가. 건설업체의 공사 수행 능력을 기술적 능력 , 재무 능력, 조직 및 공사 능력 등 비가격 요인을 검토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업체에 입찰 참가자격을 부여하는 제도: 나. 발주자가 요구하는 성능, 품질을 보장하면서 가장 싼 값으로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을 찾고자 하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공사 방법: 다. 설계에서부터 각종 공사정보의 활용성을 고려하여 원가절감 및 공기단축을 꾀할 수 있는 설계와 시공의 통합 시스템 [답안] 가. 입찰 참가자격 사전 심사제도 (PQ:Pre-Qualification) 나. 성력화(VE:Value Engineering) 다. 일괄 입찰 방식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1995년 4회

1995년 4회 건축기사실기시험 기출문제 문제 1. 공동도급(Joint venture contract)의 장점을 3가지만 쓰시오. (3점)☞ 95-4 [답안] 가. 위험의 분산 나. 자본력 증대 다. 기술력 강화 문제 2. 지반조사시 실시하는 보링(boring)의 종류를 3가지만 쓰시오. (3점) ☞ 95-4 [답안] 가. 수세식 보링 나. 회전식 보링 다. 충격식 보링 문제 3. 다음 적당한 토질시험법을 보기에서 골라 그 번호를 쓰시오. (4점)☞ 95-4 가. 굳은 진흙에 있어서의 시료 채취: 나. 사질토의 밀도 측정: 다. 점토질의 점착력 파악: 라. 투수계수 파악: [보기] ① darcy's law, ② vane test ③ composite sampler, ④ standard panetratio..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1995년 3회

1995년 3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문제 1. 다음은 도급업자 선정시 입찰 방식에 대한 설명이다. 각 설명에 맞는 입찰명을 쓰시오. (3점) ☞ 95-3 가. 해당 공사에 적격이라고 인정되는 수 개의 도급업자를 정하여 입찰시키는 방법이다.( ) 나. 입찰 참가자를 공모하여 모두 참가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그러나, 부적격업자에게 낙찰될 우려가 있다.( ) 다. 해당 공사에 가장 적격한 단일 도급업자를 지명하여 입찰시키는 방법이다. ( ) [답안] 가. 지명경쟁 입찰 나. 공개경쟁 입찰 다. 특명 입찰 문제 2. 다음은 “경제적 시공속도”에 대한 설명이다.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5점) ☞ 95-3 가. 총공사비는 간접비와 직접비로 구성되고, 직접비는 공사시 공사량에 비례한다고 가정하면,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1995년 2회

1995년 2회 건축기사실기시험 기출문제 문제 1. 공사계획의 일반적인 순서를 보기에서 골라 쓰시오. (4점) [보기] ① 공정표 작성 ② 하도급자의 선정 ③ 재료 선정 ④ 현장원 편성 ⑤ 실행 예산 편성 ⑥ 가설 준비물 결정 ⑦ 재해 방지 [답안] ④-①-⑤-②-⑥-③-⑦ 문제 2. 시험에 관계되는 것을 보기에서 골라 쓰시오. (4점) [보기] ① 신 월 샘플링(Thin wall sampling) ② 베인 시험(Vane test) ③ 표준 관입 시험 ④ 정량 분석 시험 가. 진흙의 점착력:( ), 나. 지내력:( ) 다. 연한 점토:( ), 라. 염분:( ) [답안] 가-② 나-③ 다-① 라-④ 문제 3. 다음 보기의 지반 중에서 지내력이 큰 것부터 순서를 쓰시오. (3점) [보기] ① 자갈 ② 자갈,..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해설 1995년 1회

1995년 1회 건축기사실기시험 기출문제문제 1. 다음 보기에 있는 항목들은 공사도급에 관한 사항들이다. 공개경쟁입찰의 내용만 골라서 순서대로 쓰시오. (4점) ☞ 95-1[보기]① 시공 계획 ② 입찰 공고 ③ 발주 ④ 참가 등록 ⑤ 입찰 ⑥ 견적 ⑦ 현장 설명 ⑧ 개찰 ⑨ 낙찰 10.설계도서열람  11.입실   12.질의 응답  13.계약[답안]②-④-10-⑦-12-⑥-⑤-⑧-⑨-13 문제 2. 평판 측량에 사용되는 기구의 명칭을 4가지 쓰시오. (4점) ☞ 95-1답안] 가. 평판     나. 삼각대 다. 앨리데이드    라. 구심기 문제 3. 보링의 4대 구성 기구명 중 3가지를 쓰시오. (3점) ☞ 95-1[해설] 가. Rod,     나. Bit ,    다. Casing 문제 4. 지반개량 ..

공정관리 12.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 EST, EFT, LST, LFT / 선행작업과 더미 / 일정계산 / 2020년3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2020년3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선행작업과 더미 / 일정계산 문제 12. 다음 데이터를 네트워크 공정표로 작성하시오. ☞ 20-3 [답안] NET WORK 공정표 [해설] 1. 최초작업과 최종작업 파악 1) 선행 작업이 없음으로 A,C,D 작업은 최초 시작 작업이다. 2) 선행작업 목록에 없는 B,E 작업은 최종 작업이다. 3) 3개의 작업으로 시작해서 2개의 작업으로 끝나는 공정표이다 2. 데이터 표에서 더미 찾기 C,D 작업의 선행작업이 없음으로 같고, E의 선행작업이 C,D 이므로 C에서 D로 명목상 더미 발생 3. 공정표 작성법 1) 최초 시작 작업은 A,C,D 작업이다 2) 선행작업 A가 끝나고 B 작업 3) 선행작업 C,D가 끝나고 E 작업 C,D 작업이 시작과 끝이 ..

공정관리 11.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과 주공정선 / EST, EFT, LST, LFT / TT, FF, DF / 1990년1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네트워크 공정표 작성 1990년1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문제 11. 다음 데이터를 보고 Network 공정표를 작성하시오. ☞ 90-1 [답안] [해설] 1. 최초작업과 최종작업 파악 1) 선행 작업이 없음으로 A,B,C 작업은 최초 시작 작업이다. 2) 선행작업 목록에 없는 D,E,F 작업은 최종 작업이다. 2. 데이터 표에서 선행작업 찾기 1) F 작업의 선행작업 C와 E작업의 선행작업 B,C에서 작업 C가 끝나는 event에서 B가 끝나는 event로 실질적 더미 발생 2) E 작업의 선행작업 B,C와 D작업의 선행작업 A,B,C에서 작업 B,C가 끝나는 event에서 A가 끝나는 event로 실질적 더미 발생 3. 공정표 작성법 1) 최초 시작 작업은 A,B,C 작업이다 2) 선행작업 C가 끝나..

공정관리 10. 네트워크 공정표 일정계산 / EST, EFT, LST, LFT / TT, FF, DF / 1993년3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네트워크 공정표 EST, EFT, LST, LFT, TT, FF, DF 공정관리 일정계산 1993년3회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문제 10. 주어진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일정시간, 여유시간 등을 계산하고, critical path를 구하고 다음의 표를 채우시오. ☞ 93-3 [답안] [해설] 1) critical path(주공정선)를 그리고 일정을 계산한다 EST=EFT=LST=LFT 2) 2번 event의 ET(전진계산)와 LT(역진계산)를 계산한다. 3) 주공정선의 작업에 여유시간 0을 쓰고 ※를 표시한다 4) 각 작업의 EST를 먼저 기입하고 공사일수를 더해서 EFT를 계산한다. (전진계산) 5) 각 작업의 LFT를 먼저 기입하고 공사일수를 빼서 LST를 계산한다. (역진계산) 6) 일정계산 된 공정표를..

공정관리 06. NET WORK 공정표 / 공기단축 / 비용구배 / 건축기사실기 기출문제 / 건축산업기사실기 기출문제

제 3 장. 공 기 단 축 1. 공기단축 지정된 공기 내에 작업(공사)을 달성하기 어려울 경우에 작업 인원, 자재의 증감, 초과 근무의 실시 등으로 공기의 단축을 행하여야 한다. 2. 최소비용 계획법 (Minimum Cost Expediting) 1) Cost slope (비용증가액, 비용구배) 2) 공기단축요령 ① 주공정선을 대상으로 단축한다. ② 비용 구배와 단축 가능일수를 구한다. ③ 주공정선(C.P)를 대상으로 Cost slope가 가장 적은 것부터 단축한다. ④ 공기단축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단계별로 단축하여 나간다. 즉, 주공정선에서 공기 단축을 하되, CP가 아닌 Sub path 가 CP가 될 때까지 단축한다. ⑤ 주공정선이 바뀌지 않도록 한다. CP를 줄이면 Sub path 가 CP가 되며..